코메디 프랑세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메디 프랑세즈는 1680년 루이 14세의 명령으로 창설된 프랑스의 국립 극단이다. 몰리에르 극단과 오텔 드 부르고뉴 극단의 통합으로 시작되었으며, '몰리에르의 집'이라는 의미로 불리기도 한다. 3000개 이상의 작품 레퍼토리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팔레 루아얄의 살 리슐리외 극장을 비롯하여 3개의 극장을 운영하고 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온라인 프로그램으로 전환하여 공연을 진행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80년 설립 - 소론
소론은 조선 후기 서인에서 분파된 정치 세력으로, 윤증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남인에 대한 온건한 입장과 왕위 계승 문제에 있어 노론과 대립했으며, 강화학파를 형성하는 등 독자적인 학풍을 이루었다. - 1680년 설립 - 노론
노론은 조선 후기 서인에서 분화되어 숙종, 경종 시대 소론과의 정쟁을 거쳐 영조, 정조 시대 탕평책 속에서도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 붕당으로, 청나라에 대한 입장 차이, 서인 내부 갈등, 송시열과 윤증의 불화 등이 형성 원인이며 사도세자 죽음 관련 시파, 벽파 분열과 북학파를 내포하기도 했다. - 파리의 극장 - 폴리 베르제르
폴리 베르제르는 [주제]에 대한 기원, 발전 과정, 기술적, 사회문화적, 정치적 측면 및 미래 전망 등을 다루는 문서이다. - 파리의 극장 - 불바르 극장
불바르 극장은 18세기 후반 프랑스 템플 대로에서 시작된 대중적인 극장 양식으로, 희극과 드라마 위주의 레퍼토리, 단순한 이야기 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정치나 종교 같은 민감한 주제를 피하는 경향을 보인다. - 파리 1구의 건축물 - 팔레 루아얄
팔레 루아얄은 프랑스 파리에 있는 역사적인 건물로, 리슐리외 추기경의 저택에서 왕궁으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여러 정부 기관과 문화 공간으로 활용되며, 현대 미술 작품과 르 그랑 베푸르 레스토랑이 위치해 있다. - 파리 1구의 건축물 - 오랑주리 미술관
오랑주리 미술관은 파리 튈르리 정원에 위치하며, 원래 오렌지 온실이었던 건물을 개조하여 모네의 《수련》 연작 전시를 위해 개관한 이후 프랑스 현대 미술 컬렉션의 중요한 장소로 자리매김하여 인상주의 및 현대 미술 거장들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코메디 프랑세즈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코메디 프랑세즈 |
원어 명칭 | 테아트르 프랑세 테아트르 드 라 레퓌블리크 |
로마자 표기 | Comédie-Française |
다른 명칭 | 테아트르 프랑세 |
설립 | 1680년 |
설립자 | 루이 14세 |
목적 | 극단 |
위치 | 프랑스 파리 1구 리슐리외 거리 2번지 |
좌표 | 48.8635, 2.3362 |
개장 | 1799년 |
재건축 | 1900년 |
좌석수 | 1100석 |
웹사이트 | www.comedie-francaise.fr |
극장 정보 | |
건축가 | 빅토르 루이 |
주요 극장 | 살 리슐리외 |
![]() | |
![]() |
2. 역사
코메디 프랑세즈는 몰리에르와 연관되어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프랑스 배우들의 후원자로 여겨진다. 그러나 코메디 프랑세즈는 "몰리에르의 집"(La Maison de Molière|라 메종 드 몰리에르프랑스어)이 탄생하기 7년 전에 몰리에르는 사망하였다.
17세기와 18세기에는 장 라신의 『아탈리』(1691년), 보마르셰의 『세비야의 이발사』(1770년), 『피가로의 결혼』(1784년) 등이 대히트를 기록했다. 18세기에 코메디 프랑세즈는 극장 관람료가 비쌌기 때문에 프랑스 귀족들이 즐겨 찾는 곳이었다.
19세기에는 빅토르 위고의 『에르나니』 초연은 관객들 사이에서 고전파와 낭만파의 논쟁을 불러 일으켰고, 이른바 ‘에르나니 사건’은 10년 이상 지속된 낭만주의의 번영의 시작이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에는 일반 극장의 번영에 비해 점차 그 정채(精彩)를 잃어갔다. 1936년, 극작가 에드와르 불데가 주사(主事)로 임명되고 자크 코포, 루이 주베 등의 협력을 얻어 여러 가지 개혁을 단행했다. 1946년 오데온 극단을 합병한 뒤 새로운 작품을 적극적으로 채택하여, 욘넬이나 앙리 롤랑이 활약하고 지로두, 루노 등을 육성시켰다. 1959년 다시 오데온 극단을 잃었으나 자크 샬롱, 로베르 일슈, 아니 듀코 등을 중심으로 하여 몰리에르, 라신 등의 고전은 물론 페이도, 몽테를랑, 더 나아가서는 이오네스코 등의 현대극에도 뛰어난 무대를 선보였다.
1871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과 파리 코뮌 시대에는 극장 로비가 응급 병원이 되고, 극단은 런던으로 순회 공연을 떠났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인 1940년 2월, 에드와르 불데가 교통사고를 당했고, 5월 자크 코포가 극장장 대리로 취임했다. 장 루이 바로가 합류하여 연출에도 참여했다(1946년까지). 1941년 1월, 자크 코포는 나치 독일의 프랑스 점령으로 해임되었다.
1944년 7월, 파리 해방 시민 전투 때는 일시 폐쇄하여 간호 시설을 설치했다.
1946년 2월, 오데온 극장을 제2 극장으로 하고, 제1 극장을 ‘리슐리외 홀’(Salle Richelieu), 제2 극장을 ‘룩상부르크 홀’(Salle Luxembourg)이라고 불렀다. 전자는 고전, 후자는 신작으로 작품을 구분했다. 1959년 문화정보부 장관 앙드레 말로가 오데온 극장을 ‘르노-바로 극단’(la troupe Renaud-Barrault)에 위임하면서 이 체제는 종료되었다.
1971년 다시 오데온 극장을 산하에 두었지만, 1983년 이후 해당 극장은 점차 ‘유럽 연합을 위한 극장’적인 색채를 짙게 했다.
1930년대 이후 종종 해외 공연을 펼쳤고, 일본에도 1962년, 1965년, 1976년, 1988년에 공연을 왔다.
2. 1. 설립 배경과 초기 역사
1680년 루이 14세의 칙령에 따라 파리의 여러 극단을 통합하여 코메디 프랑세즈가 설립되었다. 여기에는 몰리에르 사후 그의 극단을 포함하여, ''오텔 드 게네고''와 ''오텔 드 부르고뉴'' 극단 등이 통합되었다.[2] La Maison de Molière|라 메종 드 몰리에르프랑스어라고도 불리는 코메디 프랑세즈는 "몰리에르의 집"으로 양식화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몰리에르 사후 7년 뒤에 창립되었다.통합 이전인 1673년 몰리에르가 사망한 후, 귈네고 극단의 극단은 마레 극장과 몰리에르 극단의 합병으로 결성되었다.[3] 이들은 매년 1만 2천 프랑의 왕실 보조금을 받았다.[1]
1680년 8월 25일 귈네고 극장에서 첫 공연을 가졌으며,[4] 몰리에르의 미망인 아르망드 베자르, 그녀의 남편 게랭 데스트리셰, 라 그랑주, 마리 샹프메슬레, 바롱, 노엘 르브르통 드 오테로슈, 레이몽 푸아송 등이 주요 배우로 활동했다.[5] 초기 레퍼토리는 몰리에르, 장 라신의 희곡 작품들과 피에르 코르네유, 폴 스카롱, 장 로트루의 몇몇 작품들로 구성되었다.
2. 2. 프랑스 혁명과 그 이후
1789년 프랑스 혁명 직전, 극단은 '국민 극장'(Théâtre de nation)으로 개명되었다.[2] 1791년 혁명파가 탈퇴한 후 1793년 '평등 극장 마라 지부'(Théâtre de l'Égalité section Marat)라는 이름을 사용하다가 1794년 폐쇄되었다. 1790년 4월 16일에는 피에르 로종(Pierre Laujon)의 '수녀원, 혹은 성격과 교육의 열매(Le Couvent, ou les Fruits du caractère et de l'éducation)'가 세계 초연되었는데, 이는 전적으로 여성 배우들로 구성된 출연진을 가진 최초의 프랑스 연극이었다.[6] 1793년 프랑스 대혁명 동안, 공공안전위원회의 명령에 따라 문을 닫았고, 배우들은 수감되었다.[2]그러나 1799년 당시 본거지였던 오데온 극장 화재를 계기로 혁명파와 다시 합쳐 현재 위치인 팔레 루아얄의 극장에서 공연을 재개했다. 새 정부가 살 리슐리외 극장을 열 수 있게 하였고, 배우들이 극단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허락하였다.
1812년 10월 15일, 원정 중이던 나폴레옹 황제가 코메디 프랑세즈 운영에 관한 '모스크바 칙령'을 발표하여 극단의 황실 지배를 확인했다. 그러나 1815년 부활한 부르봉 왕조 이후 극단은 점차 연극 공연 독점권을 잃고 다른 극단과 경쟁하게 되었다.
2. 3. 19세기와 낭만주의
1830년 2월 25일, 빅토르 위고의 『에르나니』 초연은 관객들 사이에서 고전파와 낭만파 간의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 '에르나니 사건'은 7월 왕정 하에서 10년 이상 지속된 낭만주의 번영의 시작이 되었다.[1]1862년부터 1866년, 그리고 1872년부터 1880년까지 사라 베르나르가 코메디 프랑세즈에 소속되어 있었다.
1871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과 파리 코뮌 시대에는 극장 로비가 응급 병원으로 사용되었고, 극단은 런던으로 순회 공연을 떠났다.
1882년, 앙리 베크의 『까마귀 떼』는 관객들의 분노를 일으켰다.
2. 4. 20세기 이후의 변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1914년 8월부터 6개월 동안 극장이 문을 닫았다.[2]1936년, 레옹 블룸의 인민전선 정부는 민간 극단 연출가 에드와르 불데를 극장장으로 임명하여 상연 작품 결정권을 부여했다. 에드와르 불데는 자크 코포, 루이 주베, 샤를 뒤랑, 가스통 바티를 초빙하여 연출가로 기용했다. 이들은 나치 점령 전까지 고전 및 구작의 새로운 연출을 다수 선보였다.[2]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인 1940년 2월, 에드와르 불데가 교통사고를 당했고, 5월 자크 코포가 극장장 대리가 되었다. 장 루이 바로가 합류하여 연출에도 참여했다(1946년까지). 1941년 1월, 자크 코포는 나치 독일의 프랑스 점령으로 해임되었다.[2]
1944년 7월, 파리 해방 시민 전투 때는 일시적으로 폐쇄되어 간호 시설이 설치되었다.[2]
1946년 2월, 오데온 극장을 제2 극장으로 삼고, 제1 극장을 ‘리슐리외 홀’(Salle Richelieu), 제2 극장을 ‘룩상부르크 홀’(Salle Luxembourg)이라 칭했다. 전자는 고전, 후자는 신작으로 작품을 구분했다. 1959년 문화정보부 장관 앙드레 말로가 오데온 극장을 ‘르노-바로 극단’(la troupe Renaud-Barrault)에 위임하면서 이 체제는 종료되었다.[2]
1971년 다시 오데온 극장을 산하에 두었지만, 1983년 이후 해당 극장은 점차 ‘유럽 연합을 위한 극장’적인 색채를 짙게 했다.[2]
1988년, 비외 콜롱비에 극장을 제2 극장으로, 1993년 스튜디오 극장을 제3 극장으로 삼았다.[2]
1930년대 이후 종종 해외 공연을 펼쳤고, 일본에도 1962년, 1965년, 1976년, 1988년에 방문하여 공연했다.[2]
2. 5. 현대
오늘날 코메디 프랑세즈는 3,000편이 넘는 작품 레퍼토리를 보유하고 있으며, 파리 시에 세 곳의 극장을 운영하고 있다. 팔레 루아얄 옆에 있는 살 리슐리외 극장, 6구에 있는 비외 콜롱비에 극장, 그리고 스튜디오 극장(Studio-Théâtre)이다.[2]2020년 10월부터 COVID-19 범유행으로 인해 프랑스의 다른 모든 극장과 마찬가지로 코메디 프랑세즈도 문을 닫아야 했다.[7] 코메디 프랑세즈는 상주 배우단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잠정적으로 온라인 프로그램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여기에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전체 텍스트 낭독과 배우들이 일주일간의 연습 후 레퍼토리 작품을 공연하는 "테아트르 아 라 타블(Théâtre à la table)"이라는 온라인 이니셔티브가 포함되었다.[8]
이 이니셔티브에 대한 온라인 참여는 파리 외 지역과 다른 국가의 사람들을 포함하여 예상 외로 높았다.[9][10][11]
2021년 5월 코메디 프랑세즈의 예술감독인 에릭 뤼프(Éric Ruf)는 온라인 프로그램 관객의 30%가 코메디 프랑세즈를 방문한 적이 없었으며 재개장 후에도 이 프로그램을 계속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12]
3. 극장 건물
3. 1. 변천 과정

코메디 프랑세즈는 1680년 귀네고 극장에서 창립된 이후 여러 극장을 사용해 왔다. 1689년에는 카페 프로코프 맞은편 극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1770년부터 1782년까지는 튀르리 궁전의 극장에서 공연했다. 1782년에는 건축가 마리-조제프 페르(Marie-Joseph Peyre)와 샤를 드와이(Charles De Wailly)가 설계한 생제르맹 외곽 극장(Salle du Faubourg Saint-Germain)으로 이전했는데, 이곳은 현재 오데옹 극장이 있는 자리이다.[13] 1799년 이후로는 빅토르 루이(Victor Louis)가 설계한 리슐리외 극장(Salle Richelieu) (리슐리외 거리 2번지(2, rue de Richelieu))에 상주하고 있다. 이 극장은 1800년대에 확장 및 개조되었고, 1900년 대화재 이후 재건되었다.[13] 화재로 인해 사망한 유일한 사람은 여배우 잔 앙리오(Jane Henriot)였다.[14]
코메디 프랑세즈의 "본거지"라고 할 수 있는 리슐리외관은 오를레앙 공 루이 필리프의 극장으로서 1786년 - 1790년에 건설되었고, 1791년 5월 15일에 개장하여 1799년 5월 30일에 '코메디 프랑세즈'가 입주했다. 이후 여러 차례 수리 및 개량을 거치면서 관객석은 초기의 약 2000석에서 현재의 약 890석으로 줄었다.
시기 | 극장 |
---|---|
1680년 - 1687년 | 게네고 극장(3구, 아르시브 거리 60번지) |
1687년 - 1770년 | 생제르맹(생제르맹데프레)의 쥐 드 폼(jeu de paume) 경기장(6구, 앙시엔느 코메디 거리 14번지) |
1770년 - 1782년 | 살 드 마시느(튀르리궁 동쪽 끝에 위치) |
1782년 - 1794년 | 오데옹 극장(6구, 뷔외 콜롱비에 거리 21번지) |
1799년 - 현재 | 팔레 루아얄의 리슐리외관(1구, 리슐리외 거리(rue Richelieu) 2번지 / 생토노레 거리변 콜레트 광장(place Colette) / 오페라 거리(avenue de l'Opéra)) |
1988년 | 뷔외 콜롱비에 극장(6구, 뷔외 콜롱비에 거리 21번지)을 주로 현대극을 공연하는 제2극장으로 삼아 1993년 4월에 개장. |
1996년 | 시연을 위한 136석 규모의 스튜디오 극장(1구, 리볼리 거리 99번지)을 개설하여 제3극장으로 삼음. |
3. 2. 리슐리외 극장
빅토르 루이(Victor Louis)가 설계한 리슐리외 극장(Salle Richelieu)은 팔레 루아얄에 있으며, 1799년부터 코메디 프랑세즈가 상주하고 있다. 이 극장은 1800년대에 확장 및 개조되었고, 1900년 대화재 이후 재건되었다.[13] 화재 당시 여배우 잔 앙리오(Jane Henriot)가 사망하였다.[14]
리슐리외관은 오를레앙 공 루이 필리프의 극장으로서 1786년 - 1790년에 건설되었고, 1791년 5월 15일에 개장하였다. 이후 1799년 5월 30일에 '코메디 프랑세즈'가 입주했고, 여러 차례 수리 및 개량을 거치면서 관객석은 초기의 약 2000석에서 현재의 약 890석으로 줄었다.
4. 극단 구성원
극단의 구성원은 사회원(sociétaires)과 연금수령자(pensionnaires)로 나뉜다. 사회원은 단체의 정규 구성원이며, 20년 근무 후 연금을 받는다. 연금수령자는 급여를 받는 배우이며, 일정 기간 근무 후 사회원이 될 수 있다. 프랑스의 거의 모든 위대한 배우와 극작가의 이름은 그들 경력의 어느 시점에 코메디 프랑세즈와 관련이 있었다.[1]
5. 역대 관리자
시모니스의 1850년 임기 이후부터 코메디 프랑세즈의 최고 행정관은 ''행정총감독(administrateur général)''이라는 직함을 사용해 왔다. 그 이전에는 다양한 직함이 사용되었다.
2006년부터는 코메디 프랑세즈 최초의 여성 총감독으로 배우 출신인 뮈리엘 마예트(1964년-)가 취임했다.
6. 주요 레퍼토리
코메디 프랑세즈는 약 3000편 이상의 방대한 레퍼토리를 보유하고 있다.[2] 몰리에르, 라신, 코르네유 등 고전 작가들의 작품은 물론, 윌리엄 셰익스피어와 같은 해외 유명 작가들의 작품과 외젠 이오네스코 등의 현대극도 포함된다.
1680년부터 1799년 사이에 상연된 작품 목록은 외부 사이트에 정리되어 있다.
1800년 이후 상연된 희곡 작가들을 출생년도 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상연 빈도가 높은 상위 10명은 제외)
작가 | 출생년도 - 사망년도 |
---|---|
윌리엄 셰익스피어 | 1564 - 1616 |
트리스탕 르에르미트 | 1601 - 1655 |
장 로트루 | 1609 - 1650 |
알랭 르네 르사주 (Alain-René Le Sage|알랭 르네 르사주영어) | 1668 - 1747 |
카를로 골도니 (Carlo Goldoni|카를로 골도니영어) | 1707 - 1793 |
드니 디드로 | 1713 - 1784 |
알렉상드르 뒤마 (피에르) | 1802 - 1870 |
외젠 라비슈 (Eugène Labiche|외젠 라비슈프랑스어) | 1815 - 1888 |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 1821 - 1881 |
곤쿠르 형제 (Edmond de Goncourt|에드몽 드 곤쿠르프랑스어 & Jules de Goncourt|쥘 드 곤쿠르프랑스어) | 1822 - 1896 / 1830 - 1870 |
모리스 졸리 (Maurice Joly|모리스 졸리프랑스어) | 1829 - 1878 |
빅토리앵 사르두 (Victorien Sardou|빅토리앵 사르두프랑스어) | 1831 - 1908 |
앙리 베크 (Henry Becque|앙리 베크프랑스어) | 1837 - 1899 |
옥타브 미르보 | 1848 - 1917 |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 | 1849 - 1912 |
폴 에르비외 (Paul Hervieu|폴 에르비외프랑스어) | 1857 - 1915 |
조르주 쿠르트린 (Georges Courteline|조르주 쿠르트린프랑스어) | 1858 - 1929 |
앙리 라브단 (Henri Lavedan|앙리 라브단프랑스어) | 1859 - 1940 |
모리스 드네 (Maurice Donnay|모리스 드네프랑스어) | 1859 - 1945 |
안톤 체호프 | 1860 - 1904 |
조르주 페이도 (Georges Feydeau|조르주 페이도프랑스어) | 1862 - 1921 |
아르투어 슈니츨러 | 1862 - 1931 |
모리스 메테를링크 | 1862 - 1949 |
루이지 피란델로 | 1867 - 1936 |
막심 고리키 | 1868 - 1936 |
폴 클로델 | 1868 - 1955 |
가스통 아르망 드 카야베 (Gaston Arman de Caillavet|가스통 아르망 드 카야베프랑스어) | 1869 - 1915 |
폴 발레리 | 1871 - 1945 |
로베르 드 플레르 (Robert de Flers|로베르 드 플레르프랑스어) | 1872 - 1927 |
샤를르 페기 | 1873 - 1914 |
앙리 베른슈타인 (Henri Bernstein|앙리 베른슈타인프랑스어) | 1876 - 1953 |
제임스 조이스 | 1882 - 1941 |
장 지로두 | 1882 - 1944 |
샤를르 빌드락 | 1882 - 1971 |
프랑수아 모리아크 | 1885 - 1970 |
쥘 로맹 | 1885 - 1972 |
폴 제랄디 (Paul Géraldy|폴 제랄디프랑스어) | 1885 - 1983 |
조르주 베르나노스 (Georges Bernanos|조르주 베르나노스프랑스어) | 1888 - 1948 |
장 콕토 | 1889 - 1963 |
앙드레 오베이 (André Obey|앙드레 오베이프랑스어) | 1892 - 1975 |
앙리 드 몽테를랑 (Henri de Montherlant|앙리 드 몽테를랑프랑스어) | 1895 - 1972 |
앙토냉 아르토 | 1896 - 1948 |
장 사르망 (Jean Sarment|장 사르망프랑스어) | 1897 - 1976 |
베르톨트 브레히트 | 1898 - 1956 |
로제 비트락 (Roger Vitrac|로제 비트락프랑스어) | 1899 - 1952 |
자크 오디베르티 (Jacques Audiberti|자크 오디베르티프랑스어) | 1899 - 1965 |
알망 사라크루 | 1899 - 1989 |
니콜라이 에르드만 (Nikolai Erdman|니콜라이 에르드만영어) | 1900 - 1970 |
비톨트 곰브로비치 (Witold Gombrowicz|비톨트 곰브로비치영어) | 1904 - 1969 |
외젠 이오네스코 | 1909 - 1994 |
장 주네 | 1910 - 1986 |
장 아누이 (Jean Anouilh|장 아누이프랑스어) | 1910 - 1987 |
아서 밀러 | 1915 - 2005 |
장 클로드 브리스빌 (Jean-Claude Brisville|장 클로드 브리스빌프랑스어) | 1922 - |
존 오스본 (John Osborne|존 오스본영어) | 1929 - 1994 |
해롤드 핀터 | 1930 - |
페르난도 아라발 (Fernando Arrabal|페르난도 아라발영어) | 1932 - 1955 |
르네 칼리스키 (René Kalisky|르네 칼리스키프랑스어) | 1936 - 1981 |
장 클로드 그랑베르 (Jean-Claude Grumberg|장 클로드 그랑베르프랑스어) | 1939 - |
베르나르 다 코스타 (Bernard Da Costa|베르나르 다 코스타프랑스어) | 1939 - |
자크 피에르 아메트(Jacques-Pierre Amette|자크 피에르 아메트프랑스어) | 1943 - |
데이비드 마멧 | 1947 - |
베르나르 마리 콜테스 (Bernard-Marie Koltès|베르나르 마리 콜테스프랑스어) | 1948 - 1989 |
크리스틴 알바넬 | 1955 - |
7. 한국과의 관계
Comédie-Française프랑스어는 1930년대 이후 종종 해외 공연을 가졌으며, 한국에도 1962년, 1965년, 1976년, 1988년에 내한하여 공연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연극계에 프랑스 연극을 소개하고 영향을 미쳤다.
8. 평가
미시마 유키오는 "태어나서 지금까지 본 수많은 무대 중에서 무대 미술이라는 점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을 보여달라고 한다면, 주저 없이 1960년 겨울 파리에서 본 코메디 프랑세즈의 「뤼이 블라스」(위고 작)를 들 것이다. 이전에도 이후에도 나는 그처럼 마음을 사로잡는 무대 미술을 접한 적이 없다."라고 극찬했다.[15]
참조
[1]
Americana
[2]
NIE
[3]
서적
Hartnoll 1983, p. 168; Clarke 1998, pp. 13–14.
[4]
서적
Brocket & Hildy 2008, p. 195.
[5]
서적
Hartnoll 1983, p. 169; Gaines 2002, p. 210 (Guérin), pp. 249–250 (La Grange).
[6]
서적
The Sentimental Theater of the French Revolution
Taylor & Francis
[7]
웹사이트
Coronavirus : Les lieux culturels sont-ils majoritairement fermés en Europe, comme l'affirme Bachelot ?
https://www.20minute[...]
20 minutes
2021-01-16
[8]
웹사이트
Confinement : la Comédie-Française "n'a jamais été aussi proche du public" qu'en ligne
https://www.francecu[...]
France Culture
2020-12-23
[9]
웹사이트
La Web TV de la Comédie-Française cartonne : les raisons d'un engouement
https://www.francetv[...]
France Info
2021-02-25
[10]
웹사이트
Confinement : la Comédie-Française "n'a jamais été aussi proche du public" qu'en ligne
https://www.francecu[...]
France Culture
2020-12-23
[11]
웹사이트
Au bout de six mois, les lectures de "La Recherche" de Proust par les sociétaires de la Comédie Française font toujours un tabac
https://www.francetv[...]
France Info
2021-05-04
[12]
웹사이트
Eric Ruf pour "Le soulier de satin" de Paul Claudel
https://www.francein[...]
France Inter
2021-05-06
[13]
서적
Wild 2012, pp. 99–100, 383–384.
[14]
웹사이트
Pierre-Auguste Renoir "Madame Henriot" 1876 Framed Art Giclée Giclee On Canvas
https://www.worthpoi[...]
WorthPoint
2020-05-04
[15]
간행물
「ブリタニキュス」のこと
朝日新聞
1962-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